Written by
JJoo
on
on
프로그래밍 기초
스크립트란 무엇인가?
- 스크립트란 컴퓨터가 목표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 실행해야 하는 명령의 집합
- 스크립트는 실행될 때마다 전체 명령의 일부를 싱행하며, 실행되는 명령은 매번 다를 수 있다.
- 스크립트를 작성하려면 목표를 세부적인 단계로 나눈 후 각 단계를 완료하기 위한 작업들을 정의해야 한다.(이때 흐름도 작성하는 것이 좋음)
객체와 속성
1. 객체 object
: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각각의 물리적인 물체들은 객체로 표현됨
각각의 객체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가질 수 잇다.
- 속성(properties)
- 이벤트(event)
- 메서드(methods)
2. 속성 properties
: 객체(object)의 특징들.
속성은
- 이름 name
- 값 value
으로 구성되며 이름과 값의 쌍은 객체의 개별 인스턴스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를 표현는 데 사용됨
ex) 모든 자동차에는 저마다 제조사, 색상, 엔진 크기 등의 속성(properties)를 가지고 있다.
각각의 자동차는 동일한 속성 이름을 가지고 있어도 각 속성 값은 다를 수 있다.
3. 이벤트 event
: 실제 세계에서 사람은 객체와 상호작용을 하고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객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 값이 바뀌게 된다.
- 이벤트란?
- 이벤트는 컴퓨터가 “방금 전에 이런 일이 일어났었어!”라고 말하는 방법이다.
- 이벤트가 하는 일은?
-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 이벤트는 그에 대응하기 위한 일련의 코드를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.
- 스크립트는 프로그래머가 어떤 이벤트에 반응하고자 하는지, 그리고 그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스크립트의 어느 부분이 실행되어야 하는 지 서술한다.
- ex) 호텔 객체에 예약이 이루어졌을 때, 자동차 객체의 사용자가 차의 속도를 줄이고 싶을 때
4. 메서드 methods
: 사람이 객체를 사용하여 하고자 하는 일을 표현. 객체의 속성 값을 알아내거나 변경할 수 있다.
메서드란?
- 객체의 속성에 저장된 값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해 설명한다.
-
- 객체의 속성값을 변경한다.
- ex) 호텔 객체에 예약이 이루어지면 남은 방의 갯수를 줄인다/혹은 예약된 방의 갯수를 늘린다. 자동차 객체의 사용자가 차의 속도에 변화를 주고자 하면 속도(속성값)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.
5. 이벤트(event)는 메서드(methods)를 실행하고 메서드는 객체(object)의 속성(properties)을 알아내거나 변경한다.
객체와 메서드를 사용하는 방법.
:아래와 같은 기법을 메서드를 호출(calling)한다고 표현한다.
document.write(‘blabla’);
- document : 객체
- . : 멤버 접근 연산자. 객체는 여러개의 메서드와 속성을 가지고 있다. 이들을 객체의 멤버(member)라고 부른다. 객체의 멤버를 사용할 때 객체의 이름과 사용할 멤버의 이름을 마침표료 연결하는 데 이를 멤버 접근 연산자(member operator)라고 한다.
- write(‘blabla’) : 메서드
- ‘blabla’ : 매개변수. 메서드가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 어떤 정보를 필요로 하면 그 정보를 괄호()를 둘러싸서 제공해야 한다. 여기서 각각의 정보를 매개변수(parameter) 라고 부른다.
Discussion and feedback